(비밀유지계약서) 반드시 들어가야 할 문구 3가지 정리 | NDA(Non-Disclosure Agreement) 계약서
[비밀유지계약서] 반드시 들어가야 할 문구 3가지 기억하기
비밀유지계약서는 NDA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Non-Disclosure Agreement)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투자자들간 업무와 관련하여 영업상 비밀을 주고받아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회사의 영업상 비밀을 누설하지 않도록 법적 강제력을 부과하기 위한 계약서가 비밀유지계약서 입니다.
1. 전문
계약서 맨 앞부분입니다.
계약서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이 필요합니다. 비밀유지의무가 발생하게 되는 ex)투자, 사업 등에 대한 설명도 자세히 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계약 당사자가 누구인지 표시하고 시작하여야 합니다.
"주식회사 ABC (이하 "ABC"라 한다)와 주식회사 가나다(이하 "가나다"이라 한다)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한다."
"주식회사 ABC(이하 "매도인")이 서울특별시 XX구 XXXX구역 내 토지 등을 매각하는 거래(이하 "본건 거래")와 관련하여 공동 대주단, 매도인 또는 그 관계인(아래 1조에서 정의)으로부터 제공받은 비밀정보(아래 2조에서 정의)에 대하여 공동 대주단 및 매도인에게 본 비밀유지확약서(이하 "본 확약서")에 따라 다음사항을 준수할 것을 확약합니다. "
2. 비밀정보에 대한 정의 필요
비밀유지의무는 쉽게 말하면 비밀을 지키고 누설하지 않아야 하는 행위를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그럼 무엇이 비밀정보에 포함되어서 누설하지 말아야 하는지 설명이 필요하게 됩니다.
" 계약에서 비밀정보라 함은 ABC가 가나다에게 제공하는 정보인 영업자료, 연봉자료, 매출내역 .... 을 포함한다.
단, 다음과 같은 정보는 비밀정보로 간주되지 않는다.
(1) 본 계약에서의 비밀유지 의무의 위반 없이 공공매체나 제3자로부터 입수한 정보
(2) 정보제공자가 비밀정보를 제공하기 전에 정보수령자가 정당한 방법으로 이미 획득한 정보
(3) 정보제공자가 사전에 서면으로 공개를 승인한 정보"
" 본 계약에서 '비밀정보'라 함은, ABC 또는 XYZ가 본 업무 수행 과정에서 스스로 알게 되거나, 상대 방 또는 그 직원(이하 '상대방'이라 함)으로부터 제공받아 알게 되는 상대방에 관한 일체의 기술상 혹은 경영상의 정보 및 이를 기초로 새롭게 발생한 일체의 기술상 혹은 경영상의 정보를 말한다. "
3. 비밀유지의무에 대한 기간
비밀유지계약서를 통하여 비밀유지의무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제까지는 비밀유지의무의 내용에 대해서 규정한 것이라면, 마지막으로는 이렇게 발생한 비밀유지의무는 며칠의 기간 동안 발생할까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기간의 설정은 양 당사자가 필요함에 따라 정할 수 있습니다. 6개월이 될 수도 있고, 1년이 될 수도 있고, 10년이 될 수도 있습니다.
" 본 확약서 상의 비밀유지의무는 본 확약서 제출일로부터 3년간 유효하다."
"본 계약을 통하여 정보제공자가 제공한 비밀정보에 대한 정보수령자의 비밀유지 의무 및 무단 사용금지 기간은 비밀정보 제공일로부터 2년간으로 하며 계약의 중도 해지 또는 만료의 경우에도 동 의무는 해당 기간 동안 존속한다"
"① 본 계약은 본 계약 체결일로부터 5년간 그 효력을 가진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본 계약 제4조, 제5조 및 제7조의 의무는 본 계약의 계약기간이 만료되거나, 본 계약이 해제・해지 등의 사유로 종료된 이후부터 계속하여 유효하게 존속하는 것으로 한다."
----------------------------------------------------------------------------